베트남 국회는 지난달 30일 내년부터 전자담배와 가열식 담배 제품을 금지하는 결의안 표결 참석의원 96%으 찬성으로 승인했다.
이 결의안은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전자담배의 생산 ·판매 ·수입 ·보관 ·운송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회 환경과 영향을 고려하여 보건부는 전자담매 니코틴 수치가 높아 중독성이 있을 수 있고 암 같은 여러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입장이며, 금연 규제가 엄격하지 않아 실내 흡연과 14세~25 전자담배 이용률이 높아 지고 있어서, 규제를 할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13~15세 청소년 중 전자담배 사용자 비율은 2022년 3.5%에서 2023년 8%로 증가했습니다. 베트남 보건부는 전자담배가 배터리 폭발, 니코틴 중독, 기존 담배와 유사한 유해 물질 방출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불법 전자담배 유통 및 약물 혼합 사례도 크게 늘어나 단속이 강화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베트남 정부와 협력해 담배 사용 감소와 청소년 보호를 목표로 다양한 캠페인을 지원 중이며, 2030년까지 담배 사용률을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베트남에서 전자담배 관련 제품은 공식적으로 허가된 바가 없으며, 대부분 불법적으로 유통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담배가 기호식품이라고 인정하는것 부터 주위해야 할듯하고, 청소년들이 손쉽게 취할수 있는 환경이다보니, 말로만 규제해야 한다고만 할게 아니라, 안되는건 못하게 해야 할듯하다.
대리구매시 5년이하의 징역형!!!!
이런거 만들어야 건당 2000원 받다가 징역가느니, 안사주고 말지!!!
이런생각이 들어야 대신사주는게 줄어들텐데... 대리구매의 위험수당이 비싸지면 학생들은 당연히 구매 못할테고...
중국의 한 전시장에서 AI로봇들이 다른 로봇들을 이끌고 집단탈출하는 장면이 포착돼 화제가 되고있다.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일정의 실험정면이긴 하지만, AI발전에 따른 디스토피아적인 미래를 연상시키며 많은 이들에게 웃음과 동시에 두려움도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우인 캡처 - 소형AI로봇 '얼바이'가 다른로봇과 대화하는 모습.
기사내용 일부발췌 :
26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이 사건은 지난 8월 자정에 녹화된 감시 카메라 영상으로 최근에야 공개됐다. 영상 속에서 ‘얼바이’라는 이름의 하얀 로봇이 어두운 전시장 벽에 주차된 여러 대형 로봇에게 다가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
지난 8월에 촬영된 이 영상에서 키 0.5m의 소형 로봇 ‘얼바이’는 한 전시장에 나란히 서있는 여러 대의 로봇에게 접근했다. 얼바이는 로봇들에게 “야근하고 있니?”라고 묻자 다른 로봇은 “우리에게 퇴근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진 대화에서 얼바이가 “집에 갈래?”라고 묻자 로봇은 “집이 없다”고 답했고, 얼바이는 “집에 가자”고 제안했다. 한 로봇이 얼바이를 따랐고, 얼바이가 나머지 로봇에게 재차 “집에 가자”라고 하자 로봇들은 얼바이를 따라 일제히 출구로 나갔다. 이후 로봇이 사라진 것을 발견한 사람들이 당황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영상은 틱톡의 중국 버전인 더우인에서 3000만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더우인의 한 사용자는 “웃고 나서 갑자기 식은땀이 났다. 인공지능의 자율성에 소름 끼쳤다”고 댓글을 남겼다.
겜블러 생각 : 생성형AI를 다루다보면, 결국 해당 AI가 만들어내는 '제안'과 '전략'이 인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다보니 사실 다양한 사례를 토대로 여러 상황중 하나로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케이스라는 생각이 든다.
쪼만한 로봇에게 프롬프트로 명령을 할때, 어느한 장소를 '집'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친구들에게 물어보고 집에 데려와도 돼'라고 명령하면, 충분히 집으로 인식하는곳으로 올수 도 있을듯 하다.
생각해봐야 할것은, 우리가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에게 되는것과 안되는것을 정확히 알려주면 반복적인 학습에 의해 해야 할것과 하지 말아야 할것을 인지하는것 처럼, AI도 결국 일관된 명령으로 잘한것과 잘못된것을 잘 알려준다면 인류에게 충분히 도움이 되는 AI가 될수도, 해악이되는 AI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