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Chat GPT, Gemini, Copilot 등 다양한 생성형 AI와 대화를 하려면 프롬프트를 잘 써줘야 한다는 말을 많이 한다.
최근 AI기술 발전으로 챗봇의 활용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고,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을 위해 STICC 커뮤니티 기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챗봇 프롬프트 작성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 고민이 필요합니다. 주요 어려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표 설정의 모호성
-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나 의도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프롬프트가 과도하게 일반적이거나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구체적인 목표를 염두에 두고, 필요한 정보를 단계별로 나누어 요청합니다.
- 맥락 전달 부족
- 프롬프트에 필요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챗봇이 잘못된 결과를 생성하거나 맥락에서 벗어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해결 방안: 챗봇이 작업의 범위, 스타일, 주요 요소를 이해하도록 상세히 설명합니다.
- 과도한 복잡성
- 프롬프트가 너무 길거나 복잡하면 챗봇이 중요한 핵심을 놓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간결하면서도 필요한 세부 정보를 포함한 프롬프트를 작성합니다.
- 다의어와 애매성
- 하나의 단어나 표현이 여러 의미로 해석될 경우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구체적인 단어와 문장을 사용하여 혼란을 줄입니다.
- 의도 전달의 비효율성
- 챗봇이 사용자의 요구를 오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명령형, 질문형, 설명형 등 다양한 스타일을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의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적절한 톤과 문체를 사용합니다.
예시:
- 잘못된 프롬프트: "나에게 코드를 작성해줘."
→ 맥락이 불분명해 챗봇이 어떤 코드를 작성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음. - 개선된 프롬프트: "HTML로 간단한 3단 구조의 웹 페이지 레이아웃 코드를 작성해줘. 제목은 'My Portfolio', 내용은 'About Me', 'Projects', 'Contact'로 구성해."
→ 구체적이고 명확한 요구 사항 전달.
효과적인 프롬프트는 챗봇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게 해주는 핵심 기술입니다. 지속적인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챗GPT에게서 좋은 답변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어린아이의 시각에서 어린아이도 이해할수 있는 질문을 던지되, 조금 구체적으로 질문을 해보는것 입니다.
이 방법이 STICC 기법입니다.
STICC는 Situation(상황), Task(과제), Intent(의도), Concern(우려), Calibration(조정)의 약자로, 복잡한 상황에서 명령을 명확히 전달하고 효과적으로 실행하도록 돕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입니다. 특히 군사 작전, 위기 관리, 팀 리더십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Situation (상황)
- 현재 상황에 대한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입니다.
- 목표: 참여자가 동일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보장.
- 예: "현재 프로젝트 마감이 3일 남았고, 팀의 작업 속도가 예상보다 느립니다."
2. Task (과제)
- 팀 또는 개인이 해결해야 할 구체적인 임무나 과제입니다.
- 목표: 실행할 작업을 명확히 정의.
- 예: "팀은 오늘까지 주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3. Intent (의도)
- 과제 수행의 목적과 의도를 설명하여, 왜 이 작업이 중요한지 이해하게 합니다.
- 목표: 과제의 중요성과 전반적인 방향성을 제공.
- 예: "이 과제는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 프로젝트 진행을 정상화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4. Concern (우려)
-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점이나 리스크를 공유합니다.
- 목표: 대비책을 마련하고 우선순위를 설정.
- 예: "시간 부족으로 세부 사항이 누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검토 단계를 추가하세요."
5. Calibration (조정)
-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방향을 수정합니다.
- 목표: 계획과 실제 상황 간의 격차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임.
- 예: "진행 상황을 2시간마다 확인하고, 필요 시 팀원 역할을 재조정하겠습니다."
STICC의 주요 특징
- 명확성과 간결성: 불필요한 정보 없이 핵심 내용을 전달.
- 의사결정 속도 향상: 명령의 명확한 구조로 빠른 실행 가능.
- 팀의 동기 부여: 의도와 맥락을 공유함으로써 구성원이 목적에 동의하도록 도움.
활용 예시
- 위기 상황 관리: 갑작스러운 시스템 장애 시, 모든 팀원이 상황을 이해하고 행동을 조율하도록 돕습니다.
- 프로젝트 리더십: 프로젝트의 주요 마일스톤을 명확히 전달하고, 예상되는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STICC는 명령 전달뿐 아니라 피드백 루프를 강화하여 협업 효율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실무에서 활용하면 팀 내 혼란을 줄이고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IT정보 > IT업무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면설계 와이어프레임을 제작할수 있는 파워 목업4.3.5 설치 (0) | 2025.03.07 |
---|---|
SI 프로젝트에서 PMO의 역할 (0) | 2024.11.08 |
SI 프로젝트에서 PL의 역할 (0) | 2024.11.08 |
SI 프로젝트에서의 PM의 역할 (0) | 2024.11.08 |
SI 프로젝트별 담당자 역할 설명 (0) | 2024.11.08 |